※ 표준화
5G, 사물인터넷, UHD, 빅데이터 등 ICT 분야에 대해 국제표준화기구, 사실표준화기구 등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.
○ 주요 업무
- ICT 표준화 계획 및 전략 수립 보급
- TTA 단체표준 개발·보급(정보통신표준화위원회 구성·운영)
- 국제 공식표준화기구 및 사실표준화기구 협력 대응
- ICT 국제표준화전문가 구성·지원
- 중소·중견기업 표준화 자문 및 활동지원
- 용어 표준화, 기술표준 교육 등 표준 보급·확산
○ 주요 성과
- TTA 표준 제정 (15,440건, ’16 누적 기준)
- 국제표준화기구 활동 대응 및 국제협력
• 한국ITU연구위원회 구성·운영 및 ISO/IEC/JTC1 대응체계 구축
• 국제표준화기구 의장단 133명 진출
• GSC(세계표준협력회의), CJK(한중일IT표준협력회의), 글로벌 표준 협력
프로그램 참여(3GPPs, oneM2M)
• ITU, IEEE, ATSC, GSMA 등 24개 세계 표준화기구와 MoU 체결
- 국내 ICT표준화 기반 구축 지원
• 사실표준화기구 협력 대응을 위한 ICT 표준화 포럼 지원 (38개, ’16년)
• 중소·중견기업 대상 ICT 표준 자문서비스 실시 (연 80여 회)
• ICT 용어표준화 (연 110건)
○ 주요 표준화 분야
- 통신망: 광전송, 스마트홈, 통신설비, 이더넷, IPTV 미래인터넷 등
- 정보기술 및 융합: GIS, 지능형 로봇, 차세대PC, 스마트농업, CCTV 등
- 정보보호: 정보보호기반, 개인정보보호 및 ID 관리, 사이버보안 등
-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: 임베디드, 공개 소프트웨어, 소프트웨어 품질평가,
웹, 메타데이터, 해상e-내비게이션, e-퍼블리싱, CPS, 디지털 콘텐츠 등
- 방송: 지상파방송, 케이블방송, 양방향방송, 위성방송, 실감미디어방송 등
- 전파 및 이동통신: 전파 자원, 공공 안전 통신, LBS 시스템, ITS/차량
ICT, IMT, 무선 LAN, Seamless 무선 연동, 무선전력전송 등
- 사물인터넷: 사물인터넷 융합, 사물인터넷 네트워킹, oneM2M 등
- 클라우드/빅데이터 등
※ 시험인증
세계 최고 수준의 ICT 시험인증과 연구개발(R&D)을 통해 우수 제품의 시장 진출과 산업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.
○ 주요 업무
- 정보통신/SW 국내·국제시험인증
- 정보통신/SW 국제공인 시험기관 자격확보 및 국제협력활동
- 정보통신/SW 분야 시험규격, 시험인증 핵심기술 및 방법론 연구개발
○ 주요 시험인증 활동
- 이동통신: GSM, WCDMA, LTE(FDD, TDD), LTE-A, OTAP(SISO, MIMO),RSE, 국가재난안전통신망, 자급단말기 등
- 네트워크: 블루투스, WiFi, 사물인터넷, 무선충전(A4WP), NFC, MirrorLink, Continua, EMVCo, LAN/MAN, IPv6, 홈네트워크, MMoIP, USB, ZigBee, 인터넷 전화 등
- 방송융합: 방송장비, 스마트TV 등 방송융합미디어, 장애인방송, 스마트 수화방송, Display Port, SATA, 영상보안시스템(CCTV), 디지털사이니지, UHD TV 등
- SW시험평가: 정보화시스템 품질시험, SW 품질성능 평가시험(BMT), V&V 시험, 시스템 안전진단 및 컨설팅, 클라우드 상호운용성 및 품질성능 시험·컨설팅 등
- SW시험인증: GS시험인증(1,2등급), 항행안전시설 성능적합증명 검사, 수출용 SW 국제화·현지화 시험 및 컨설팅, SW 상호운용성 시험 등
- 정보보호평가: CC평가 및 컨설팅, 정보보호 준비도 평가, 정보보호 관리체계(ISMS) 인증심사, 공공안전통신망 보안인증, 보안적합성 검증 등
- 기타: 정보통신 서비스 품질평가, ICT 융합품질인증, BMT, 테스트베드지원, 개발지원시험, R&D 결과물 검증 등
※ 채용시기
TTA는 우수인력 확보를 위해 연 4회의 채용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정기채용은 2~3월 및 8~9월(11월), 수시채용은 특별한 수요 발생시 2회의 채용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|